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코로나
- 사회적거리두기
- 넷플릭스
- 아이폰13pro
- 코로나거리두기
- 제네시스G80
- 넷플릭스영화
- 컴퓨터공학과순위
- 닏
- 거리두기
- 국시촌
- 자이언트푸들특징
- 방역패스
- 자이언트푸들분양가
- 갤럭시S22울트라
- 코로나방역패스
- 자이언트푸들성격
- 내일배움카드
- 돈안드는노후준비7원칙
- 갤럭시S22플러스
- 넷플릭스드라마
- 수원거궁
- 갤럭시S22 사전예약
- 넷플릭스드라마추천
- 자이언트푸들
- S22울트라
- 노후준비7원칙
- 제네시스
- 갤럭시S22
- 넷플릭스영화추천
- Today
- Total
정보를공유해요
그랜저 실 소유자가 말하는 장, 단점 본문
그랜저 실 소유자가 말하는 장, 단점
그랜저를 타고다니는 실제 그랜저 실 운전자가 그랜저를 몰고 다니면서 느끼는 장, 단점을 말해볼까 합니다.
연식은 2021년식 그랜저 하이브리드 익스클루시브 모델입니다. 결론만 미리 말씀드리자면 그랜저는 좋아요.
하지만 근 1년동안 장점과 단점을 구체적으로 말하면서 구매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조금이라도 도음이 됬으면
좋겠는 마음에 한번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그럼 바로 아래서 확인 해 보실까요?
그랜저의 디자인 그리고 내부 디자인
그랜저의 외관
개인적으로는 이전모델이나 전전모델에 비해서는 트렌디하고 깔끔하게 나와서 더 좋다고는 생각하지만 그랜저라는 차량자체가 원래 40대이상 분들이 타는 차량이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디자인이 둥글둥글한 느낌으로 변형되면서 30대 분들도 많이 선호하게 되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3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가 선호할수 있는 무난하고 깔끔한 디자인이 아닌가 싶어요.
모든 차량이 약간의 호불호는 갈릴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단점은 딱히 없다고 생각 합니다.
그랜저의 내부 디자인
내부의 디자인도 어떤 차량에도 밀리지 않을 만큼 극강의 깔끔 함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내부인테리어 색상은 꼭 변경하길 권해드려요. 차의 분위기가 올검보다는 훨씬 달라지거든요.
흠잡을때 없는 내부 인테리어 단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안타까운 점이 하나 있습니다.
깔끔한 인테리어를 만드려다보니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운전좌석과 인터페이스의 거리가 너무 멀어요.
일반적으로 숙련된 운전자들기준으로 비상깜박이나 에어컨 네비게이션 등, 인터페이스 부분에서 조절하는데 운전중에는 멀다는게 확실히 체감이 되더 라구요.
그랜저의 이런점은 확실하게 단점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랜저의 승차감은?
그랜저의 승차감은 그랜저 이상 고가의 차량보다 좋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물론 벤츠S클래스나 이런 차량까지는 아니지만 제네시스G80 벤츠E클래스 아우디6시리즈 BMW5 시리즈와 견주어도 전혀 모자람이 없다. 아니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더 흡족 할수도 있을것같다.
또 장점을 꼽자면 그랜저는 실제로도 위에 언급한 차량들을 다 타봐도 느낄 수 있는데 차가 상당히 넓다.
앞좌석도 넓고 뒷자석도 다른 동급차량에 비해 월등히 넓고 트렁크도 충분히 넓다고 볼 수 있다.
승차감은 모든 분들이 매우 만족스러워 할 것 이라고 판단된다.
그랜저의 연비는?
그랜저의 가솔린 모델의 실 연비는 일반 국도기준 7~9 고속도로기준 12가 평균이라 보는게 무방할 듯 하다.
그랜저 하이브리드의 경우는 국도 10~12 고속도로 16~19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물론 연비라는건 운전자의 운전스타일에 따라 그리고 엔진오일 상태에 따라 매우 상이할수 있다.
그랜저 하이브리드의 경우는 연비운전을 할시에 20까지 나오는걸 본적이 있다.
준대형 모델중에서는 연비가 좋은편이라 자부해도 될 것 같다.
그랜저의 옵션은?
현대차 뿐만 아니라 기아를 포함한 국산 차량의 경우는 외제차와 달리 옵션이 최소 500~800만원 까지는 추가하는게 효율적이라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어라운드뷰부터 왠만한 차에 있는 기능은 좋다고 파단 되지만 고급차량 치고 서스펜션이나 이런 부분이 없는건 아쉽다고 판단 되고, 취향에 따라 헤드업디스플레이나 스마트센서 등 운전자에 편리한 기능을 추가를 하는걸 추천드리는 부분이고,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하진 않지만 그랜저 같은경우는 파노마라 선루프는 다른 브랜드의 차량에 비해 상당히 넓게 느껴지기 때문에 여유가 있다면 추가하는걸 추천 드린다.
마지막으로 그랜저의 금액같은경우는 3300만원 부터 시작하지만 3300만원 깡통 그랜저를 탈바에는 소나타에 옵션을 넣는게 더 좋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그랜저를 성능좋게 타길 생각 한다면 취득세포함 금액은 4000만원 중후반대로 생각하는게 마음 편할 것 같다.